블루 스크린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필요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설치하거나 호환성이 불확실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을 삼가야 합니다. 그리고 본체 내부의 먼지 제거나 원활한 통풍 유지와 같은 기본적인 하드웨어 관리가 주기적으로 필요하며, 안정성이 검증되지 않은 하드웨어를 추가 장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종종 윈도우 시스템 등록정보(윈도우 키 + Pause 키)의 ‘장치 관리자’ 메뉴에서 현재 PC 내 하드웨어들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도 확인해 보세요. 하드웨어가 손상되었거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으면 해당 하드웨어의 항목에 느낌표(!)나 물음표(?)가 표시됩니다.
위와 같은 대처에도 블루 스크린이 계속 발생한다면 당황하지 말고 해당 오류 코드를 분석하여 마이크로소프트가 권장하는 방법대로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해당 PC의 하드디스크를 초기화(포맷) 한 뒤 운영체제를 새로 설치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리고 PC 하드웨어 구조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PC를 분해하여 각 부품들의 상태를 확인, 슬롯이나 케이블 등의 손상이나 접촉 불량 여부를 체크해 보기를 권합니다.